「질문과 답변(Q&A)」을 포함하는 다양한 주제의 글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욕설 및 비방을 포함하는 글, 네티즌의 상식과 예의에서 벗어나는 글은 사전 통지 없이 삭제됩니다.
CN703 컨넥터에 대한 상상
Author
SOONDORI
Date
2020-07-07 18:09
Views
4212
* 이하는 '상상'이 맞습니다. 제가 뭘 알아서가 아니라 실제로 상상을 하고 있기 때문이죠.
"CNT703 콘넥터가 무슨이유인지는 알수 없으나 콘넥터를 뽑아내고, 와이어 직결을 했놓았습니다. 이유가 무엇일까 ? 고민을 했습니다. 제가 손보다 쇼트를? 이쪽에는 손도 안됀곳인데 말이죠. A/S 하면서 연결을 해놓은것 같은데 처음에는 원래 연결되어 있는줄 알았습니다. 자세히 보니 임의로 연결해 놓았더라구요.

일단은 분리시켰습니다. 원래 증상은 일전에도 언급한것 처럼 입력 소스가 크면 특정음에서 릴레이가 떨어졌다 음이 낮으면 붙고, 이게 이 앰프뿐만 아니라 다른앰프도 ? 그렇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러면 고질적인 아님 설계오류? 일단 원상복구되면 테스트 해보아야 겠습니다.
3웨이 8옴 대형기에 붙히면 그렇고, 풀레인지에 붙히면 아무렇치도 않습니다. 물론 소리가 너무 크니 줄이기는 하는데 줄여도 3웨이에서는 릴레이가 춤을 춥니다. 이것 때문에? 쇼트를 시킨것인지는 알수 없습니다."
지난 번 AX-7R에서도 음의 종류에 따라 프로텍션이 걸린다는 언급이 있었지요. 그것도 김정근 님의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분들 기기에서도... 헛참. 희한한 일이군요. 그런 경우... 논리는 이것 하나 밖에 없겠어요.
"중성점(=출력라인)과 어떤 기준점 간 신호 변동의 차(差)가 잘못 인식되고 있다. 즉, 오버로드 회로를 트리거하는 Threshold 설정에 관련된 문제? 여기에 임피던스 변동, 역기전력 등 스피커가 변수로 개입되고 있다."
뭘까요? 대충 가설을 세워보자면...
아래 회로를 보면... 0.39오움을 기준으로 IN4148 다이오드와 저항들로 조합된 회로가 0.39오움을 가운데 놓고 어찌어찌 하여 A, B 전압 차를 보호회로 쪽으로 보내고 있습니다. 보호회로는 두 개 이상의 값을 가지고 맞다 틀리다, 아날로그적 판단을 할 것이므로 OP.AMP가... 본연의 기능인 '비교기(Comparator)'로 작용을 하겠지요.

그래서 그 보호회로 쪽으로 가보면...

아까 A, B로 표기된 라인을 가지고 생각하면... CN703이 CN710으로 정보를 넘기고 각각은 OP.AMP + 입력으로 갑니다. 그런데 하나는 R742, R709, R741 그리고 7815 레귤레이터 IC로 조합된 일종의 분압기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게 기준점인 듯합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CN711, CN 707도 개입되고 있습니다.
이게... 관여된 콘넥터가 4개나 되네요. (보호회로에 관여하는 콘넥터 총 수는 8개 이상이고요. 헐~)
불편한 일(?)일어날 가능성 있다고 보면 어떨까요? 예를 들어 15.000000V가 아니라 어쩌다가 한 순간 14.4V가 되었다면? 즉시 보호회로가 작동할 수 있지 않을까 싶고요. 또한 노래에 따라 자기 멋대로 반응한다고 하셨으니... 글쎄요? 앰프 중성점 즉, 스피커 출력라인이자 차(差) 신호를 픽업하는 경로에 불안정한 포인트들(=접촉불량 등) 있으니까 음의 크기나 속성에 따라 간헐적으로 상태가 바뀌고 그래서 인지 값들 변하고... 그래서 릴레이 널뛰기를 한다는 상상도 가능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A-B=C를 가지고 판단하는데 모종의 사유로 B가 일시 단절이면 C는 매우 큰 값이 나옵니다. 그에 따라 릴레이 반응하고... 정상 상태라면 A-B 값은... 음의 변화에 거의 무관하게 약간의 차만 가지고 A, B가 같이 움직이는 것이겠죠. 이렇게 되면 콘넥터의 수도 중요하지만 각 Pin 들의 상태도 중요한 변수가 됩니다. 두 개씪이니까 4개 콘넥터면 4 X 2 = 8, 8개라면 8 x 2 = 16... 많네요.
극단적인 표현으로... 예를 들어 눈에 보이는 모든 콘넥터들을 완전히 직결시켜버린다고 하면 제기된 문제들이 해결될 가능성이 51% 이상일 듯합니다. 이런 가설이 맞다면 인켈이 콘넥터를 더 좋은 것으로 썼어야 마땅한 것이 되어버립니다.
궁금합니다. 혹시 CN703, CN710, CN711, CN707 사진으로 보여주실 수 있을까요?
참고로... 위 사진 부위를 수정한 분은 콘넥터 불량으로 판단을 하셨을 듯해요. 물론 Pin to Pin을 그대로 유지했다면 말이죠. 다른 라인들과 연결했다면 보호회로를 강제 Disable시켜 놓은 것이겠습니다. 설마...
"CNT703 콘넥터가 무슨이유인지는 알수 없으나 콘넥터를 뽑아내고, 와이어 직결을 했놓았습니다. 이유가 무엇일까 ? 고민을 했습니다. 제가 손보다 쇼트를? 이쪽에는 손도 안됀곳인데 말이죠. A/S 하면서 연결을 해놓은것 같은데 처음에는 원래 연결되어 있는줄 알았습니다. 자세히 보니 임의로 연결해 놓았더라구요.

일단은 분리시켰습니다. 원래 증상은 일전에도 언급한것 처럼 입력 소스가 크면 특정음에서 릴레이가 떨어졌다 음이 낮으면 붙고, 이게 이 앰프뿐만 아니라 다른앰프도 ? 그렇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그러면 고질적인 아님 설계오류? 일단 원상복구되면 테스트 해보아야 겠습니다.
3웨이 8옴 대형기에 붙히면 그렇고, 풀레인지에 붙히면 아무렇치도 않습니다. 물론 소리가 너무 크니 줄이기는 하는데 줄여도 3웨이에서는 릴레이가 춤을 춥니다. 이것 때문에? 쇼트를 시킨것인지는 알수 없습니다."
지난 번 AX-7R에서도 음의 종류에 따라 프로텍션이 걸린다는 언급이 있었지요. 그것도 김정근 님의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분들 기기에서도... 헛참. 희한한 일이군요. 그런 경우... 논리는 이것 하나 밖에 없겠어요.
"중성점(=출력라인)과 어떤 기준점 간 신호 변동의 차(差)가 잘못 인식되고 있다. 즉, 오버로드 회로를 트리거하는 Threshold 설정에 관련된 문제? 여기에 임피던스 변동, 역기전력 등 스피커가 변수로 개입되고 있다."
뭘까요? 대충 가설을 세워보자면...
아래 회로를 보면... 0.39오움을 기준으로 IN4148 다이오드와 저항들로 조합된 회로가 0.39오움을 가운데 놓고 어찌어찌 하여 A, B 전압 차를 보호회로 쪽으로 보내고 있습니다. 보호회로는 두 개 이상의 값을 가지고 맞다 틀리다, 아날로그적 판단을 할 것이므로 OP.AMP가... 본연의 기능인 '비교기(Comparator)'로 작용을 하겠지요.

그래서 그 보호회로 쪽으로 가보면...

아까 A, B로 표기된 라인을 가지고 생각하면... CN703이 CN710으로 정보를 넘기고 각각은 OP.AMP + 입력으로 갑니다. 그런데 하나는 R742, R709, R741 그리고 7815 레귤레이터 IC로 조합된 일종의 분압기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게 기준점인 듯합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CN711, CN 707도 개입되고 있습니다.
이게... 관여된 콘넥터가 4개나 되네요. (보호회로에 관여하는 콘넥터 총 수는 8개 이상이고요. 헐~)
불편한 일(?)일어날 가능성 있다고 보면 어떨까요? 예를 들어 15.000000V가 아니라 어쩌다가 한 순간 14.4V가 되었다면? 즉시 보호회로가 작동할 수 있지 않을까 싶고요. 또한 노래에 따라 자기 멋대로 반응한다고 하셨으니... 글쎄요? 앰프 중성점 즉, 스피커 출력라인이자 차(差) 신호를 픽업하는 경로에 불안정한 포인트들(=접촉불량 등) 있으니까 음의 크기나 속성에 따라 간헐적으로 상태가 바뀌고 그래서 인지 값들 변하고... 그래서 릴레이 널뛰기를 한다는 상상도 가능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A-B=C를 가지고 판단하는데 모종의 사유로 B가 일시 단절이면 C는 매우 큰 값이 나옵니다. 그에 따라 릴레이 반응하고... 정상 상태라면 A-B 값은... 음의 변화에 거의 무관하게 약간의 차만 가지고 A, B가 같이 움직이는 것이겠죠. 이렇게 되면 콘넥터의 수도 중요하지만 각 Pin 들의 상태도 중요한 변수가 됩니다. 두 개씪이니까 4개 콘넥터면 4 X 2 = 8, 8개라면 8 x 2 = 16... 많네요.
극단적인 표현으로... 예를 들어 눈에 보이는 모든 콘넥터들을 완전히 직결시켜버린다고 하면 제기된 문제들이 해결될 가능성이 51% 이상일 듯합니다. 이런 가설이 맞다면 인켈이 콘넥터를 더 좋은 것으로 썼어야 마땅한 것이 되어버립니다.
궁금합니다. 혹시 CN703, CN710, CN711, CN707 사진으로 보여주실 수 있을까요?
참고로... 위 사진 부위를 수정한 분은 콘넥터 불량으로 판단을 하셨을 듯해요. 물론 Pin to Pin을 그대로 유지했다면 말이죠. 다른 라인들과 연결했다면 보호회로를 강제 Disable시켜 놓은 것이겠습니다. 설마...
Total 453
Number | Title | Author | Date | Votes | Views |
Notice |
오디오퍼브 콘텐츠 검색방법 안내
audioPUB
|
2020.05.09
|
Votes 0
|
Views 12023
|
audioPUB | 2020.05.09 | 0 | 12023 |
305 |
어떤 오디오인지 궁금합니다. (3)
ParkHac
|
2023.05.15
|
Votes 0
|
Views 105
|
ParkHac | 2023.05.15 | 0 | 105 |
304 |
LA-2500P 수리 문의 (1)
hkysimon
|
2023.04.26
|
Votes 0
|
Views 91
|
hkysimon | 2023.04.26 | 0 | 91 |
303 |
파나소닉 비디오플레이어 NV-H6 고장관련 도움 요청 드립니다. (1)
강재준
|
2023.04.24
|
Votes 0
|
Views 66
|
강재준 | 2023.04.24 | 0 | 66 |
302 |
티볼리 cdp 수리에 관해 (3)
여백
|
2023.04.20
|
Votes 0
|
Views 111
|
여백 | 2023.04.20 | 0 | 111 |
301 |
턴테이블 노이즈 원인을 못찾고 있습니다. (2)
도로시
|
2023.04.14
|
Votes 0
|
Views 130
|
도로시 | 2023.04.14 | 0 | 130 |
![]()
SOONDORI
|
2023.04.15
|
Votes 1
|
Views 132
|
SOONDORI | 2023.04.15 | 1 | 132 | |
![]()
SOONDORI
|
2023.04.21
|
Votes 0
|
Views 90
|
SOONDORI | 2023.04.21 | 0 | 90 | |
![]()
도로시
|
2023.04.21
|
Votes 0
|
Views 78
|
도로시 | 2023.04.21 | 0 | 78 | |
![]()
SOONDORI
|
2023.04.22
|
Votes 0
|
Views 160
|
SOONDORI | 2023.04.22 | 0 | 160 | |
![]()
SOONDORI
|
2023.04.22
|
Votes 0
|
Views 77
|
SOONDORI | 2023.04.22 | 0 | 77 | |
300 |
Tivoli Audio One --> CDP 픽셀 수리 가능하십니까... (1)
오친
|
2023.04.07
|
Votes 0
|
Views 165
|
오친 | 2023.04.07 | 0 | 165 |
299 |
파이오니아 TX-8800II 튜너 수리 도와주세요 (3)
이학순
|
2023.03.28
|
Votes 0
|
Views 156
|
이학순 | 2023.03.28 | 0 | 156 |
298 |
앰프 출력이 스피커 입력의 두 배가 되어야 한다는 말은 오류! (3)
SOONDORI
|
2023.03.03
|
Votes 0
|
Views 407
|
SOONDORI | 2023.03.03 | 0 | 407 |
297 |
EMI 필터 노이즈 실험 (8)
와산교
|
2023.02.22
|
Votes 0
|
Views 386
|
와산교 | 2023.02.22 | 0 | 386 |
296 |
믹서 한 채널만 이상하면 문제가 무엇일까요? (10)
yoonminsoo
|
2023.02.22
|
Votes 0
|
Views 250
|
yoonminsoo | 2023.02.22 | 0 | 250 |
295 |
난방필름 조절기 스위칭 노이즈를 제거하고 싶습니다. (9)
yoonminsoo
|
2023.02.20
|
Votes 0
|
Views 265
|
yoonminsoo | 2023.02.20 | 0 | 265 |
294 |
그라운드 루프 잡음 제거할 광출력 장치 찾습니다. (14)
yoonminsoo
|
2023.02.14
|
Votes 0
|
Views 362
|
yoonminsoo | 2023.02.14 | 0 | 362 |
293 |
참을 수 없는 괴로움을 극복하는 건... (8)
플레인뷰
|
2023.02.04
|
Votes 0
|
Views 324
|
플레인뷰 | 2023.02.04 | 0 | 324 |
292 |
[이*샘 님] 커넥터 방식 기기 연결의 대안
SOONDORI
|
2023.01.27
|
Votes 0
|
Views 308
|
SOONDORI | 2023.01.27 | 0 | 308 |
291 |
쓰레기장 단골손님 (3)
와산교
|
2023.01.17
|
Votes 0
|
Views 439
|
와산교 | 2023.01.17 | 0 | 439 |
290 |
소니 탈자기 (3)
와산교
|
2023.01.03
|
Votes 0
|
Views 361
|
와산교 | 2023.01.03 | 0 | 361 |
289 |
2023년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1)
짱돌
|
2022.12.31
|
Votes 0
|
Views 259
|
짱돌 | 2022.12.31 | 0 | 259 |
288 |
가변 저항기 계산 필요합니다.
yoonminsoo
|
2022.12.30
|
Votes 0
|
Views 329
|
yoonminsoo | 2022.12.30 | 0 | 329 |
![]()
SOONDORI
|
2022.12.30
|
Votes 0
|
Views 457
|
SOONDORI | 2022.12.30 | 0 | 457 | |
287 |
[와산교 님] SONY KV-9AD2 아날로그 TV의 오류에 대한 응급 조치 (1)
SOONDORI
|
2022.12.25
|
Votes 0
|
Views 274
|
SOONDORI | 2022.12.25 | 0 | 274 |
![]()
와산교
|
2022.12.26
|
Votes 0
|
Views 311
|
와산교 | 2022.12.26 | 0 | 311 | |
286 |
[기*훈 님] Schottky Barrier Diode 또는 Zenor Diode
SOONDORI
|
2022.12.23
|
Votes 0
|
Views 254
|
SOONDORI | 2022.12.23 | 0 | 254 |
수리하고 나서 혹시나 하고 CDP를 연결해 보니 역시나 릴레이가 음악에 따라 널뛰기를 합니다.
그러면 이 앰프를 가지고 넓은곳에서는 크게 틀지 못한다는 말이 되는것 같습니다.
출력이 반이하라는 경우인데,
세월이 지남에 따라 콘트롤하는 곳이 언급하시데로 기준값이 변한것 같습니다.
수동소자의 겉보기 값은 같으나 부하를 받을때 변하는 것처럼 말이죠.
0과1이면 그나마 확인이라도 하는데 그 중간이고 동작이 된다면 정말 찾기가 어려울것 같습니다.
측정장비로 파형을 보지 않는한 ...